기준 금리 인상 영향을 3가지 관점에서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에 따라서 시중 은행, 기업, 소비자가 어떠한 행동 패턴을 가지게 되는지 쉽게 예시를 통해 살펴보겠습니다.
기준 금리란
기준금리 인상 영향에 대해 소개하기 전에 기준 금리에 대해서 간단하게 알려드리겠습니다. 기준금리는 한국은행에서 결정하는 ‘돈의 값‘입니다. 그래서 기준금리를 높인다는 것은 ‘돈의 값’을 높인다는 것이고, 기준금리를 낮춘다는 것은 ‘돈의 값’을 내린다는 것입니다. ‘돈의 값’이 높아지면 돈이 귀해지고, 반대로 ‘돈의 값’이 내려가면 돈이 흔해집니다.
한국은행 제1의 목적은 ‘물가 안정’입니다. 즉,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조절하는 주된 목표는 물가 안정입니다. 물가 수준에 따라서 기준금리 인상 혹은 기준금리 인하를 통해서 물가를 안정화하려고 하는 겁니다. 한국은행에서 이상적으로 생각하고 있는 물가 상승률은 2%이며, 항상 이 수준을 맞추기 위해서 움직이게 됩니다.
최근 기준 금리가 점점 높아지면서 일반 소비자의 대출 부담이 점점 심해지고 일부 사람들은 신용 점수 하락, 개인 회생 등의 문제를 겪게 되었습니다. 주택담보대출 등의 주거용 대출은 대출 이자가 높아졌을 때 쉽게 갚을 수 있는 금액이 아닙니다. 그래서 정부에서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특례보금자리론, 청년전용 보증부 월세 대출, 청년월세 한시 특별지원, 소액 생계비 대출 등의 제도를 시행하기도 했습니다.
지금부터는 실질적인 예시를 통해서 기준금리 인상 영향에 대해서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기준 금리 인상 영향
- 시중 은행의 영향
- 기업의 영향
- 일반 소비자의 영향
1. 시중 은행의 영향
기준 금리를 결정하는 한국은행은 시중 은행과 거래를 합니다. 시중 은행에 돈을 빌려주거나 받으며, 시중 은행이 정상적으로 영업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입니다. 시중 은행은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기업은행, 국민은행, 신한은행, 우리은행 등이 있습니다.
한국의 중앙은행인 한국은행이 시중 은행과 거래를 할 때, 기준 금리를 기준으로 돈을 빌려주게 됩니다. 그래서 돈을 빌리는 시중 은행 입장에서 기준 금리가 높아지면 중앙은행으로부터 돈을 빌리는 데 부담을 느끼게 됩니다. 금리가 높아져 대출 이자가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이해를 돕도록 쉬운 예시 하나를 알려드리겠습니다. 예를 들어, 100만 원을 빌렸는데 기준 금리가 5%면 5만 원을 갚아야 됩니다. 그런데 기준 금리가 10%로 변하게 되면 똑같이 100만 원을 빌려도 10만 원을 갚아야 됩니다. 그러면 같은 돈을 빌려도 갚아야 될 돈이 많기 때문에 부담을 느끼게 됩니다. 그래서 최대한 투자를 줄이려고 하는 것입니다.
물론 기준금리가 인상되어도 투자를 계속 이어나갈 수는 있습니다. 하지만, 모든 투자는 수익률이라는 것을 고려하게 되는데, 수익률을 변화시키는 건 쉽지가 않습니다. 수익률은 쉽게 돈을 버는 능력이라고 생각하시면 되는데, 이러한 기술이 갑자기 늘어나는 건 쉽지 않기 때문입니다. 100만 원 벌던 사람이 어느 날 갑자기 200만 원을 번다는 건 거의 불가능에 가깝기 때문입니다.
아래 표를 보시면 조금 더 쉽게 이해가 될 겁니다.
구분 | 기준 금리 5% | 기준 금리 10% |
---|---|---|
빌린 돈 | 100만 원 | 100만 원 |
벌 수 있는 돈(쉽게 변하지 않음) | 20만 원 | 20만 원 |
갚아야 할 돈 | 5만 원(100 × 5%) | 10만 원(100 × 10%) |
수익금(벌 수 있는 돈 – 갚아야 할 돈) | 15만 원 | 10만 원 |
위 표에서 보는 것처럼 벌 수 있는 돈은 거의 고정적인 반면, 기준 금리 인상 영향으로 갚아야 할 돈은 늘어나게 됩니다. 그러면 벌 수 있는 돈에서 갚아야 할 돈을 제외하면 수익금은 기준 금리 인상 전과 비교해서 줄어드는 것입니다. 똑같이 일해도 남는 돈이 줄어드니 투자 의욕이 떨어지게 되고, 투자를 꺼리게 됩니다.
이처럼 기준 금리 인상 영향으로 시중 은행은 돈을 최대한 적게 빌리려고 하고, 사용하지 않으려고 할 것이며, 투자를 줄입니다.
2. 기업의 영향
기업도 은행과 비슷합니다. 시중 은행은 중앙 은행으로부터 돈을 빌리고, 기업은 시중 은행으로부터 돈을 빌립니다. 그래서 마찬가지로 기업 입장에서도 기준 금리 인상 영향으로 투자를 줄이게 됩니다.
기업은 성장하기 위해서 많은 돈이 필요합니다. 시중 은행으로부터 돈을 빌려서 재료도 사고, 설비도 구매하며, 공장도 설립하게 됩니다. 기업이 이렇게 은행으로부터 돈을 빌리는 것은 새로 투자를 해서 더 많은 돈을 벌 수 있다고 계산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모든 투자는 위험성이 있기 때문에 수익률이 크지 않으면 굳이 시도할 이유가 없어집니다. 아래 구체적인 예시를 통해 조금 더 자세히 보겠습니다.
예를 들어, 어떤 기업이 시중 은행으로부터 1,000만 원을 빌려서 신규 설비에 투자를 했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신규 투자를 통해서 1년에 100만 원을 벌어들일 수 있습니다. 이때 금리는 5%라서 은행에 50만 원을 갚아야 하니 결국 기업의 손에 남는 돈은 50만 원 입니다.
그런데 금리가 10%로 오르게 되면 이제 은행에 갚아야 할 돈은 100만 원이 됩니다. 만약 기업이 신규 설비를 통해서 버는 돈이 100만 원으로 동일하다면 100만 원을 벌어서 은행에 100만 원을 갚아야 하니 기업 수중에 남는 돈은 0원이 됩니다. 그러면 굳이 머리 아프게 신규 사업을 시작할 이유가 없어지는 것입니다.
이처럼 기준 금리 인상 영향으로 기업도 시중 은행과 마찬가지로 투자를 줄이고, 돈을 빌리지 않으려고 하며, 여러 가지 긴축 정책을 꾸리게 됩니다. 예를 들어, 특정 부서를 통폐합하거나 인원을 감축하고, 지출을 최대한 줄이려고 할 것입니다. 심한 경우 실업자가 많이 발생할 수도 있는 것입니다.
3. 일반 소비자의 영향
기준 금리가 오르면 일반 소비자는 소비를 하지 않으려고 하고 결국 소비자 물가는 내려가게 됩니다. 쉽게 기준 금리와 물가는 반대로 작동한다고 기억하시면 됩니다. 이유를 알려드리겠습니다.
물가의 기본은 수요와 공급에 의해 결정됩니다. 수요가 많으면 물가가 오르고, 수요가 적으면 물가가 내립니다. 마찬가지로 공급이 적으면 물가가 오르고, 공급이 많아지면 물가가 내립니다. 즉, 정리해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 가격이 오른다: 수요가 늘어난다 or 공급이 줄어들었다
- 가격이 내린다: 수요가 줄어든다 or 공급이 늘어났다.
기준 금리 인상 영향을 수요 측면에서 보자면 부동산을 예시로 들 수 있습니다. 몇 년 전만 하더라도 부동산 가격이 계속 오른 것을 기억할 것입니다. 그 당시에는 기준 금리가 0.5%정도로 매우 낮은 상태였습니다. 그래서 많은 사람들이 대출을 통해 적극적으로 부동산 투자를 하려고 했던 것입니다. 많은 돈을 빌려도 이자 납부에 부담을 느끼지 않았기 때문에 부동산 투자 수요가 매우 높았습니다.
하지만 기준 금리 인상 영향으로 일반 소비자의 대출 이자에 대한 부담이 점점 늘어나게 됩니다. 같은 돈을 빌렸는데 더 많은 대출금을 갚아야 되는 상황이 오게 된 것입니다. 그래서 무리하게 대출 및 투자를 진행하려는 사람들이 점점 없어지게 됩니다.
자연스럽게 부동산 투자 수요는 줄어들게 되었고, 부동산 가격은 멈췄다가 서서히 떨어지게 됩니다. 판매하려는 사람들은 여전히 있는데 아무도 사려고 하지 않으니 가격을 점점 내리게 되는 겁니다. 돈이 급한 사람들의 경우 급매에 부동산을 내놓은 경우도 있었습니다. 당장 돈은 필요한데 아무도 제 가격에 사질 않으니 가격을 내려서라도 판매하고 싶었던 겁니다.
즉, 앞에서 이야기한 것처럼 ‘기준 금리가 오르면 소비자 물가는 내려간다‘가 되는 것입니다. 이렇게 기준 금리 인상 영향에 따라 일반 소비자의 대출 부담이 늘어나 투자 심리가 위축되어, 수요가 줄어들게 됩니다. 줄어든 수요 덕분에 물가가 하락하는 것입니다.
기준 금리 인상 영향을 시중 은행, 기업, 일반 소비자 3가지 관점에서 살펴봤습니다. 3가지로 구분하긴 했지만 결론적으로는 기준 금리 인상에 따라서 모두가 긴축 재정을 유지한다는 것은 동일합니다. 최대한 돈을 쓰려고 하지 않는 것입니다. 반대로 기준 금리가 인하되면 너도나도 돈을 쓰려고 할 것입니다. 이를 적절하게 조절하기 위해서 중앙 은행인 한국 은행이 기준 금리를 정하고 그 기준에 맞춰 움직이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