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에 다니는 청년은 중소기업 소득세 감면을 반드시 신청해야 됩니다. 직접 신청하지 않으면 소득세 감면을 해주지 않기 때문에 사실상 손해를 보고 있는 건데요. 이번 2023년에 소득세 감면 한도가 개정되어 소득세의 90%, 최대 200만 원의 소득세를 감면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중소기업 청년 소득세 감면 신청 자격과 방법, 그리고 필요 서류에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신청서도 다운로드 링크를 포함해 두었습니다.
청년을 위한 제도가 정말 다양한데요. 서울시 청년 대중교통 지원사업이나 경기도 청소년 교통비 지원, 청년월세지원, 청년도약계좌 등 다양한 청년 복지 제도가 많습니다. 모두 직접 신청하지 않으면 지원금을 받을 수 없기 때문에 지원 정책을 잘 살피셔서 꼭 혜택을 받으시기 바라겠습니다. 궁금한 혜택이 있다면 위의 글 링크를 눌러 확인할 수 있습니다.
중소기업 청년 소득세 감면 신청 자격
- 연봉 무관
- 중소기업 근로자
- 청년(만 15세~34세)
- 고령자
- 장애인
- 경력 단절 여성
중소기업 소득세 감면은 사실 청년만 가능한 게 아닙니다. 청년 외에도 고령자, 장애인, 경력단절 여성까지 모두 감면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아래 표로 간단하게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구분 | 요건 |
---|---|
청년 | 만 15세~34세 ※ 군 경력 최대 6년까지 인정. 즉, 경력에 따라 만 40세까지 지원 가능 |
고령자 | 60세 이상 |
장애인 | 장애인 복지법 적용을 받는 장애인 |
경력 단절 여성 | 퇴직 전 1년 이상 근로소득이 있을 것 결혼, 임신, 육아, 자녀교육 사유로 퇴직 퇴직한 기간으로부터 2~15년 내에 동종업계 재취직 |
한 가지 주의할 점은 일부 중소기업의 경우 혜택이 제한됩니다. 근무하고 있는 기업의 업종을 잘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아래 목록은 소득세 감면 지원을 받을 수 없는 업종입니다.
중소기업 취업자 소득세 감면 제도 제외 업종
아래 업종의 경우 중소기업 소득세 감면 제도에서 제외되는 대상입니다.
- 전문·과학 및 기술서비스업종 중 전문 서비스업(Ex. 법무, 회계, 세무 관련 서비스업 등)
- 보건업(Ex. 병원, 의원 등)
- 금융 및 보험업
- 유원지 및 기타 오락 관련 서비스업
- 교육서비스업
- 기타 개인 서비스업
지원 금액
- 2023년 한도 상향, 연간 200만 원
중소기업 소득세 감면이 2023년 개정되면서 연간 한도가 상향되었습니다. 기존 150만 원에서 2023년 현재 200만 원으로 변경된 금액으로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청년, 고령자, 장애인, 경력단절여성의 구분에 따라 감면율은 다르게 적용되지만, 감면 혜택은 모두 200만 원으로 동일합니다.
구분 | 감면 기간 | 감면율 | 감면 금액 |
---|---|---|---|
청년 | 5년 | 90% | 200만 원 |
고령자 | 3년 | 70% | 200만 원 |
장애인 | 3년 | 70% | 200만 원 |
경력단절여성 | 3년 | 70% | 200만 원 |
예를 들어서 경력단절 여성의 경우 소득세가 50만 원이 나왔다면, 70%를 감면 적용받아 15만 원만 납부하게 되는 것입니다. 급여 명세서에서 소득세 부분을 계산기로 0.3을 곱해주면 납부할 소득세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 해당 금액을 제외하면 실수령액까지도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 1년간 소득세 감면 한도가 있기 때문에 연간 혜택을 모두 받은 후에는 정상적으로 소득세를 납부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 6월까지 감면받은 금액이 200만 원을 초과할 경우 7월부터는 소득세 감면 혜택을 받을 수 없습니다. 다만, 내년에는 새롭게 다시 감면받을 수 있습니다.
신청 방법
- 근로자가 신청서 작성 후 회사에 제출
- 회사가 신청서 검토 후 국세청에 직접 신청
중소기업 소득세 감면 신청을 위해 근로자가 할 일은 신청서를 작성하여 회사에 제출하는 것이 끝입니다. 나머지 부분은 회사가 알아서 처리해야 되는 부분이고, 추후에 근로자가 정상적으로 신청이 되었는지 확인만 진행하면 됩니다. 회사에 확인하는 방법도 있고, 국세청 홈택스를 통해 직접 확인할 수도 있습니다.
아래 신청서 양식을 다운로드 받으셔서 작성 후 회사에 제출해 주시면 됩니다. 혹시 이직을 하셨다면 신청서를 다시 작성하셔서 새로 입사한 회사에 다시 제출해 주세요.
연말정산 반영 전에 신청하셔야 연말정산 때 정상적으로 반영이 됩니다.
신청 기간
신청 기간이 따로 존재하지는 않습니다. 다만, 중소기업 취직 직후부터 기간이 계산되기 때문에 신청이 늦어질수록 혜택을 모두 받지 못할 가능성이 커집니다. 따라서, 중소기업 취업 직후에 바로 신청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만약 소득세 감면 혜택을 너무 늦게 알았어도 소득세 감면 경정 청구 절차를 통해서 지나간 감면 혜택도 받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취직 후 일정 기간이 지났어도 경정 청구를 받을 수 있는지 조건을 꼭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경정 청구는 과거 5년 동안 받지 못했던 중소기업 소득세 감면 혜택을 적용받을 수 있습니다.
중소기업 근로자를 위한 다양한 제도
중소기업은 중견기업 혹은 대기업에 비해서 연봉이나 복지 수준이 약간씩 낮습니다. 그래서 상대적으로 목돈을 마련하기도 힘들고, 대기업에서 제공하는 것처럼 다양한 복지 제도를 경험하기도 힘듭니다. 그래서 국가에서 중소기업 청년들을 위해서 여러 가지 제도를 시행하고 있기도 합니다.
중소기업 소득세 감면 제도는 실질적으로 연봉 상승의 효과가 있습니다. 1년간 총 200만 원의 소득세 감면 혜택이 있기 때문에 200만 원의 연봉을 더 받는 것이나 마찬가지입니다. 게다가 감면 기간이 총 5년이기 때문에 5년간 1,000만 원을 더 받게 되는 셈입니다. 이는 실질적으로 통장에 현금이 더 들어오는 것이기 때문에 생활 수준 개선에 직접적인 도움이 됩니다. 중소기업 소득세 감면 제도를 지원받다가 어느 순간에 지원이 만료되면 제도의 위력이 엄청나게 도움이 되고 있었다는 것을 알게 될 겁니다.
또한, 복지 제도의 경우 중소기업 복지 플랫폼이라는 제도를 운용하고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국가에서 시행하는 사업으로 중소기업에 재직 중인 사람들을 대상으로 대기업 수준의 복지 제도를 운용합니다. 예를 들어서, 중소기업에 다니는 사람들은 SK 그룹 전용 복지 사이트인 ‘SK 베네피아’를 이용할 수도 있고, 중소기업 복지 플랫폼에 입점한 다른 여러 가지 제품 및 상품을 저렴한 가격에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처럼 중소기업 청년들을 위해서 정부에서 여러 가지 혜택을 제공하고 있지만, 홍보가 부족해서 사람들이 잘 모르고 있다는 것이 가장 큰 문제입니다. 중소기업 복지 플랫폼의 경우 중소기업에 다니는 사람들 중 겨우 28만 명 정도만 사용하고 있다고 합니다.
중소기업 소득세 감면에 대해 정리를 하다보니 이런 제도는 자동으로 신청이 되면 참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이런 혜택이 많은 제도를 쉽게 찾으려면 복지멤버십을 가입하거나, 국세청 등의 유튜브를 구독해 두면 조금 더 수월하게 찾을 수 있을 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