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뜰교통카드 지하철정기권 비교, 놓치면 안 되는 3가지 포인트

알뜰교통카드 지하철정기권 비교를 여러 측면에서 해봤습니다. 선택하시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여러 측면에서 비교해 두었는데요. 사실 아직까지 두 개를 모두 사용해 본 적이 없다면 남들보다 매달 몇 만 원씩 교통비를 더 내고 다닌 셈입니다. 꼭 신청하셔서 하루라도 빨리 할인 받으시기 바라겠습니다.

알뜰교통카드나 지하철 정기권처럼 각종 지원금 혜택도 놓치게 된다면 남들보다 돈을 더 사용하는 것과 마찬가집니다. 혹시 글을 읽고 계신 분이 청년에 해당된다면 국민취업지원제도, 청년도약계좌, 서울시 청년 대중교통 지원사업 등의 다양한 지원금도 알아보시는 게 좋습니다. 찾아보면 의외로 신청할 수 있는 지원금이 꽤 많습니다.

알뜰교통카드 지하철정기권 비교 요약

알뜰교통카드 지하철정기권 비교 요약을 해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크게는 사용처의 차이가 발생한다는 것, 그리고 연령 제한이 있다는 것입니다. 알뜰교통카드는 만 19세 이상부터 사용이 가능하고, 지하철 정기권은 연령 제한이 없습니다.

알뜰교통카드지하철 정기권
적립 대상버스, 지하철지하철
발급 제한만 19세 이상제한 없음
할인 방식사용한 횟수 비례 할인(월 최대 44회 적립)할인 구매 후 차감방식(60회 사용하거나 30일 경과)
할인율월 최대 약 30%서울 구간 약 26%, 그 외 약 37%

편의성

  • 초반 세팅은 지하철 정기권이 편리함
  • 지속적으로 이용 시에는 알뜰교통카드가 우세

편의성은 초반 구간과 사용 구간으로 나눠서 설명드리겠습니다.

초반 구간

초기 카드 구입 및 설정하는 과정을 초반 구간으로 볼 수 있는데, 이 구간에서는 지하철 정기권이 훨씬 편리합니다. 지하철 정기권은 구매할 때 지하철 역사에 직접 가서 구매해야 되는 불편함은 있지만, 구매 후 즉시 지하철역에서 원하는 가격에 따라 충전을 하고 바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사용할 때마다 지하철 게이트에서 남은 횟수를 알려줍니다.

이에 반해 알뜰교통카드는 알뜰교통카드 전용 카드 발급 신청을 통해 카드 배송을 기다려야 합니다. 카드 배송 후에 알뜰교통카드 앱 설치 후 카드 등록하는 과정까지 거쳐야 비로소 사용할 수 있습니다. 결국 사용하기까지 등록이라는 과정을 하나 더 거쳐야 하며, 등록할 때는 거주지 확인용 주민등록초본이 필요합니다.

사용 구간

사용 구간에서는 알뜰교통카드가 조금 더 편리합니다. 지하철 정기권은 항상 소지하고 다니면 되고, 사용할 때마다 사용 가능한 횟수를 정확하게 알 수 있습니다. 다만, 한 가지 불편한 점은 주기적으로 충전을 해주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매번 지하철 역에서 키오스크를 통해 충전을 진행해야 됩니다.

알뜰교통카드는 실물 카드를 가지고 다니거나, 모바일캐시비나 원패스 앱을 통해 스마트폰으로도 결제가 가능합니다. 모바일 결제를 사용하시는 분들은 스마트폰 하나만 들고 다니면 되기 때문에 엄청 편리합니다. 게다가 2023년 7월에 알뜰교통카드 플러스가 출시되면 삼성페이도 지원되고, 지원되는 카드사도 더 늘어난다고 합니다.

알뜰교통카드 적립 방식이 기존에는 출발지에서 앱을 켠 뒤 출발 버튼을 누르고, 목적지에서 도착 버튼을 눌러야 정상적으로 마일리지가 적립됐습니다. 하지만 이것도 현재는 즐겨찾기 구간을 설정해서 등교길이나 출퇴근 길에 자동으로 적립되도록 설정할 수 있습니다. 알뜰교통카드 플러스가 도입되면 이동 거리도 자동으로 계산해 준다고 합니다. 아마 더욱 편리해질 것 같습니다.

결론적으로 지금은 편의성이 비슷하다고 볼 수 있지만, 앞으로는 알뜰교통카드가 조금 더 편리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부가적으로 알뜰교통카드는 월 최대 적립 횟수가 44회에서 60회로 변경될 예정입니다. 일반 성인 기준으로 현재 최대 적립금이 19,800원인데, 27,000원까지 적립할 수 있게 됩니다. 물론 거리에 따른 차이는 있습니다.

할인율

알뜰교통카드 지하철정기권 비교 기준 중 할인율만 비교하면 지하철 정기권이 우세합니다.

지하철 정기권은 가장 저렴한 할인 구간이 서울입니다. 서울 기준으로 60회 이용 기준으로 2만 원이 할인됩니다. 할인 전 요금이 75,000원이고, 할인 후 요금이 55,000원입니다.

지하철 정기권은 1단계인 서울 구간을 제외하고는 모든 구간에서 약 37% 할인이 됩니다. 거리는 총 18단계로 나뉘며, 1단계는 55,000원에서부터 시작하고 18단계는 117,800원입니다. 간단하게 1단계와 18단계만 비교해서 할인율을 보겠습니다.

60회 이용 시, 기존 요금정기권 운임할인율
1단계75,000원55,000원약 26%
18단계189,000원117,800원약 37%

알뜰교통카드-지하철정기권-비교-사이버-스테이션-노선-검색

구매 전 거리 단계별 상세 할인율을 미리 확인해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표를 통해 확인하는 것이 너무 어려울 경우 서울 메트로가 제공하는 아래 사이버 스테이션에서 미리 구간별로 운임을 미리 확인해볼 수 있습니다.

반면에 알뜰교통카드는 카드 할인을 받아서 최대 약 30%까지 할인받을 수 있습니다. 거리가 아무리 멀어지더라도 적립금이 동일하기 때문에 할인율은 거의 동일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다만 하나 기대해 볼만한 점은 2023년 7월에 알뜰교통카드 플러스 도입 후 최대 적립 횟수가 60회로 늘어난다는 점입니다. 그러면 할인율이 더 커지게 됩니다.

알뜰교통카드 지하철정기권 비교에서 또 하나의 차이점은 일반, 청년, 저소득층에 따라 할인율이 다르게 적용된다는 것입니다. 1회 교통비가 2천 원 미만 구간에서 적립되는 금액 예시를 보여드리겠습니다.

  • 일반: 최대 250원 적립 (44회 적립 기준 11,000원)
  • 청년층: 최대 350원 적립 (44회 적립 기준 15,400원)
  • 저소득층: 최대 700원 적립 (44회 적립 기준 30,800원)

청년층부터는 서울 내에서 이동한다면 알뜰교통카드가 오히려 더 많이 할인이 됩니다. 현재도 이미 더 많이 할인되고 있고, 7월이 되면 그 격차가 더욱 벌어지게 됩니다.

사용 패턴

할인율과 편의성도 중요하지만 알뜰교통카드 지하철정기권 비교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사용 패턴입니다.

등교길이나 출퇴근 길에 버스를 타지 않는 분들은 선택의 여지없이 지하철 정기권을 구매하셔야 합니다. 반면, 버스만 이용하는 분들도 알뜰교통카드를 구매할 수밖에 없습니다.

문제는 버스, 지하철을 모두 사용하는 분들인데요. 이런 분들은 이동하는 거리에 따라 선택하는 게 맞습니다.

  • 지하철을 1,250원 구간만 이동한다면 알뜰교통카드가 좋습니다.
  • 지하철을 1,250원 구간을 초과해서 이동한다면 지하철 정기권이 좋습니다.
  • 플라스틱 카드를 가지고 다니는 게 귀찮으시다면 알뜰교통카드가 좋습니다.

자주 이용하는 지하철 구간 운임이 기억나지 않으신다면 사이버 스테이션에서 바로 확인해볼 수 있습니다.

정리

알뜰교통카드 지하철정기권 비교점에 대해 정리를 마쳤습니다. 알뜰교통카드와 지하철정기권 두 개가 공존하고 있어서 머리가 참 아픈데요. 올해 6월쯤엔 지하철 정기권은 통합 정기권으로 개선 예정이고, 7월에는 알뜰교통카드 플러스가 출시 예정입니다. 두 가지 모두 출시되어야 정확한 할인 정보를 알 수 있기 때문에 지금 미리 판단해서 행동하기는 어렵습니다. 알뜰교통카드 지하철정기권 비교에 너무 많은 시간을 들이지 마시고, 쉽게 생각해보면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습니다. 버스를 많이 이용한다면 알뜰교통카드, 지하철을 많이 이용한다면 지하철 정기권이 좋습니다. 조금이라도 더 저렴하게 이용하는 것도 좋지만 알뜰교통카드 지하철정기권 비교만 하다가 결국 지쳐버리면 그 어떤 것도 선택하지 않는 상황이 올지도 모릅니다.

혹시라도 아직까지 알뜰교통카드나 지하철 정기권을 사용하지 않고 있는 분들은 뭐든 좋으니 얼른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아직까지 발급받지 않았다는 건 매달 남들보다 몇 만 원씩 교통비를 더 내고 다녔다는 겁니다.

Leave a Comment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