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최저임금 최저시급 월급 연봉 실수령액 조회

2025년 최저임금이 10,030원으로 결정되었습니다.

2024년 최저시급인 9,860원에서 약 1.7% 오른 수치이며, 역대 두 번째로 낮은 상승률이라고 합니다. 가장 낮은 때는 1.5%였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처음으로 최저시급이 1만 원을 넘었다는 것에 대해서 이슈화가 되고 있습니다.

2025년 최저시급, 월급, 연봉 및 실수령액까지 한 번에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2025년 최저임금 조회

2025년 최저임금은 10,030원입니다.

협상 테이블 마지막까지 10,030원과 10,120원 사이에서 협상을 시도했으나 결국 10,030원으로 최종 결정되었습니다.

2024년 최저시급과 비교하면 인상률은 1.7%이며, 금액으로 환산하면 170원 상승입니다.


참고로 2024년에는 2.5% 상승이 있었습니다.

2014년부터 2025년 최저시급까지 역대 변화율은 아래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최저월급 조회

2025년 최저월급은 세전 2,096,270원이며, 세후 1,899,300원입니다.

2025년 최저임금 10,030원을 월급으로 환산한 것이며 자세한 세금 내역은 아래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참고로 209시간 근무 기준으로 계산됩니다.

2025년 최저시급 기준 최저월급 실수령액
구분금액
세전 수령액2,096,270원
세후 실수령액1,899,300원
국민연금85,330원
건강보험67,220원
요양보험8,700원
고용보험17,060원
근로소득세16,970원
지방소득세1,690원

4대보험을 제외하면 190만 원에서 약간 모자란 1,899,300원이며, 주급 기준으로는 세전 481,440원입니다.

최저월급 및 최저주급에는 주휴수당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주휴수당 계산 방식은 아래를 참고해 주세요.


최저연봉 계산

2025년 최저연봉은 세전 25,155,240원이며, 세후 22,791,600원입니다.

단, 부양가족수 1명 기준으로 계산한 것이며, 부양가족수에 따라서 연봉 실수령액은 다소 달라질 수 있습니다.

상세한 세금 계산 내역은 아래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2025년 최저시급 기준 최저연봉 및 연봉 실수령액


최저시급과 함께 변하는 것

최저시급 상승에 따라 여러 가지 변화가 동반됩니다.

예를 들어, 앞서 언급한 주휴수당도 상승하게 되며, 실업급여 금액, 고용보험 급여, 산재보험 보상금 등이 동반 상승됩니다.

뿐만아니라 각종 복지 제도 수급 조건에도 영향을 주게 되어, 작년에 조건이 안 되던 분들이 올해는 대상자에 포함되기도 합니다.

참고로 최저임금과 연결된 법령은 29개, 복지 관련 제도는 48개입니다.


사실 복지 제도를 일일이 체크할 수는 없으므로 개인적으로는 복지멤버십 가입을 추천드리는데요.

복지로에서 서비스 중인 정부 공식 지원 어플이며 현재 내가 받을 수 있는 복지를 문자를 통해 알려주는 서비스입니다.

보조금24는 내가 직접 복지제도를 찾아야 되지만, 복지멤버십은 적합한 복지 제도를 찾아서 먼저 제안해 주는 형태입니다.

복지멤버십 가입 방법은 아래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1분이면 됩니다.

복지멤버십 가입하기
error: Content is protected !!